728x90 정보처리기사35 [정보처리 실무] 3장 데이터 입·출력 구현 031 데이터 모델의 개념 ◈ 데이터 모델의 정의 - 현실세계의 정보들을 컴퓨터에 표현하기 위해서 단순화,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개념적 모형 ◈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1) 개체(Entity) -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려는 것 - 사람이 생각하는 개념이나 정보 단위 같은 현실 세계의 대상체 2) 속성(Attribute) - 데이터의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 - 파일 구조상의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 3) 관계(Relationship) - 개체 간의 관계 또는 속성 간의 논리적인 연결 ◈ 데이터 모델의 종류 1) 개념적 데이터 모델 - 현실세계에 대한 인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인 개념으로 표현 과정 2) 논리적 데이터 모델 - 개념적 모델링 과정에서 얻은 개념적 구.. 2021. 2. 11. [정보처리 실무] 2장 요구사항 확인 019 현행 시스템 파악 ◈ 현행 시스템 파악 절차 1) 시스템 구성 파악 - 조직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는 기간 업무와 지원하는 업무로 구분하여 기술 - 각 업무에 속하는 단위 업무 정보시스템들의 명칭, 주요 기능들을 명시 2) 시스템 기능 파악 - 단위 업무 시스템이 현재 제공하는 기능들을 주요 기능과 하부 기능, 세부 기능으로 구분하여 계층형으로 표시 3) 시스템 인터페이스 파악 - 단위 업무 시스템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의 종류, 형식, 프로토콜, 연계 유형, 주기 등을 명시 - 데이터를 어떤 형식으로 주고받는지, 통신규약과 연계 유형은 무엇인지 반드시 고려 4) 아키텍처 구성 파악 - 기간 업무 수행에 어떠한 기술 요소들이 사용되는지 최상위 수준에서 계층별로 표현한 아키텍처 구성도로 작성 - 아키텍.. 2021. 2. 11. [정보처리 실무] 1장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001 데이터 타입(Data Type) ◈ 데이터 타입의 개요 - 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 - 변수에 값을 저장하기 전에 어떤 형식의 값을 저장할지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여 변수를 선언 - 데이터 타입의 유형 ① 정수 타입(Integer Type) *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저장 ② 부동 소수점 타입(Floating Point Type) * 소수점 이하가 있는 실수를 저장 ③ 문자 타입(Character Type) * 한 문자를 저장 * 작은따옴표(' ')안에 표시 ④ 문자열 타입(Chracter String Type) * 문자열을 저장 * 큰따옴표(" ")안에 표시 ⑤ 불린 타입(Boolean Type) * 조건의 참(True), 거짓(False) 여부를 판단하여 저장 * 기본값은 거짓(.. 2021. 2. 11.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 정보처리 실무 1장.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2장. 요구사항 확인 3장. 데이터 입·출력 구현 4장. 통합 구현 5장. 서버 프로그램 구현 6장. 화면 설계 7장.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8장. SQL 응용 9장.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10장.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11장.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참고자료 2020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 IT위키(http://itwiki.kr/) 2021. 2. 11. 이전 1 2 3 4 5 6 ··· 9 다음 728x90